Debian 고정ip, 호스트네임 설정

리눅스공통 2017. 7. 12. 13:59 Posted by juvenile

참고:

- Debian Wiki: NetworkConfiguration


인터넷에는 요약 자료가 넘쳐나지만, 맨날 복사/붙여넣기만 했더니, 늘지를 않는다.
일단은 참고 자료의 내용을 찬찬히 따라가며 좀 늘기를 기대해본다.

다만, 으리으리한 내부 네트웍을 갖추지 않는 이상 아주 일부의 내용만이 필요하더라.

IoT device가 늘어감에 따라 언젠가는 vlan이니 routing이니 이런 기능도 하나씩 관심이 생기겠지만, 일단 오늘은 고정ip 설정 수준에 그침.


네트워크 관련 대부분의 설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에서 이루어진다고 하니 공부할게 적어서 다행이다.

저 파일 내에 각각의 (유선/무선)랜카드에 대한 설정을 인터페이스 이름으로 구분해서 적어야 하는데, 요즘은 인터페이스 이름이 빤하지 않아서 약간의 짐작이 필요하다나봄.


아래 명령으로 인식된 인터페이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 ls /sys/class/net/

docker0  eno1  lo  veth6b4b659


내 경우엔 eno1이 실제 물리적인 랜카드의 이름이다.


1. 고정ip 설정: /etc/network/interfaces 수정

auto eno1
iface eno1 inet static
        address 192.168.0.8
        netmask 255.255.255.0
        gateway 192.168.0.1

빨간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static으로 바꿔주고, 아래에 address, netmask, gateway, broadcast 정보를 적어주면 되는데, gateway와 broadcast는 생략해도 된다.



2. DNS 서버 지정

설정 파일은 /etc/resolv.conf

그런데, resolvconf, network-manager daemon 또는 DHCP client가 저 파일을 덮어쓸 수 있다고한다. 실상 resolvconf가 그러라고 있는 프로그램이기도 하고..

기본 상태에서는 resolvconf, network-manager daemon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나는 고정ip를 사용하므로 DHCP client는 신경쓰지 않아도 될 것 같다.


실상 설정파일을 열어보면 좀 허무하다.

nameserver 210.220.163.82
nameserver 164.124.107.9


순서대로 주/보조 DNS의 ip주소이고, 예시의 ip주소는 각각 SKB와 U+에서 제공하는 DNS 주소다.
섞어쓰면 좋으냐고? 글쎄.. IPS의 자사 DNS를 사용하지 않으면, 응답속도는 살짝 손해를 본다.

어차피 Public DNS를 사용할꺼면, 응답속도를 손해보고 타사 DNS를 쓰는 장점이 있을까?


단, DHCP 쓰면서 DNS만 고정해야할 때는 /etc/dhcp/dhclient.conf 파일을 아래와 같이 손보면 된다고 한다.

supersede domain-name-servers 12.34.56.78, 12.34.56.79;

prepend domain-name-servers 12.34.56.78, 12.34.56.79;

해본적은 없다.


3. host name 변경

Debian 설치 과정에서 이미 입력했겠지만, Raspberry Pi 등 SBC용의 배포판은 SD카드에 rootfs 이미지 구워서 설치하는지라 가끔 궁금하다.


/etc/hostname 의 내용을 원하는 host name으로 변경

/etc/hosts 에 127.0.0.1에 위에서 지정한 host name을 써준다.

단, localhost를 지우면 안됨! 그냥 한줄 아래에 추가해줘라

127.0.0.1       localhost
127.0.1.1       HOST.DOMAIN.NAME     HOSTNAME

HOST.DOMAIN.NAME 부분은 없어도 된다.